[Baekjoon 문제풀이] 4948 - 베르트랑 공준 (Python 3)

728x90
반응형

etc-image-0
Baekjoon 문제풀이

서론

본 포스팅 시리즈는 필자가 Baekjoon 문제를 풀면서 정리한 코드나 이론을 올리는 포스팅이다.
대부분의 설명은 코드의 주석으로 기재되어있으니 참고바란다.

문제

Baekjoon 4948번 - 베르트랑 공준
https://www.acmicpc.net/problem/4948

 

4948번: 베르트랑 공준

베르트랑 공준은 임의의 자연수 n에 대하여, n보다 크고, 2n보다 작거나 같은 소수는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명제는 조제프 베르트랑이 1845년에 추측했고, 파프누티 체비쇼

www.acmicpc.net

해법

이번 문제는 주어진 정수 N에 대하여, N보다 크고 2N보다 작거나 같은 소수의 개수를 출력하는 문제다. 이번 문제도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를 사용하면 쉽게 해결할 수 있는데, 다만 테스트케이스가 여러개가 주어지기 때문에 에라토스테네스로 필터링이 된 정보를 저장해둔다면 공간복잡도 O(1)로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필터링이 된 마지막 소수를 저장해두어 이미 필터링이 된 소수의 배수들에 대해서 불필요한 작업을 반복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풀이

'''
No: 4948
Title: 베르트랑 공준
Problem:
베르트랑 공준은 임의의 자연수 n에 대하여, n보다 크고, 2n보다 작거나 같은 소수는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명제는 조제프 베르트랑이 1845년에 추측했고, 파프누티 체비쇼프가 1850년에 증명했다.
예를 들어, 10보다 크고, 20보다 작거나 같은 소수는 4개가 있다. (11, 13, 17, 19) 또, 14보다 크고, 28보다 작거나 같은 소수는 3개가 있다. (17,19, 23)
자연수 n이 주어졌을 때, n보다 크고, 2n보다 작거나 같은 소수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1 ≤ n ≤ 123,456
Input:
입력은 여러 개의 테스트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다. 각 케이스는 n을 포함하는 한 줄로 이루어져 있다.
입력의 마지막에는 0이 주어진다.
Output:
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서, n보다 크고, 2n보다 작거나 같은 소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Lang:
Python 3
Explanation:
브루트포스 알고리즘으로 시간복잡도 O(N)에 처리하는 것보다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를 이용해 시간복잡도 O(logN)으로 효율적인 처리가 가능하다.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를 통해 소수 필터링이 된 결과를 배열에 저장해두면 공간복잡도 O(1)로 해결 할 수 있다.
'''
arr = [True]*(123456*2+1) #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를 적용하여 소수를 필터링하기 위한 리스트
checked = 0 # 배수 필터링이 된 마지막 소수
while True: # 테스트케이스 반복
N = int(input()) # 표준 입력 처리
if N == 0: # N이 0이면 종료
break
cnt = 0 # 소수 개수
for i in range(2, N*2+1): # i를 2부터 N*2까지 1씩 증가
if arr[i]: # arr[i]가 True(소수)이면 하위 작업 수행
if checked < i: # 이미 배수 필터링이 완료된 소수인지 검사
checked = i # 배수 필터링이 된 마지막 소수 업데이트
for j in range(2, 123456*2//i+1): # 소수의 배수 필터링 작업
arr[i*j] = False
if N < i: # i가 범위 내의 소수인지 확인하고, 참이면 소수 개수를 1 증가
cnt += 1
print(cnt) # 주어진 N ~ 2N 범위 내의 소수 개수 출력
view raw 4948.py hosted with ❤ by GitHub

참고자료

위키피디아 -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https://ko.wikipedia.org/wiki/%EC%97%90%EB%9D%BC%ED%86%A0%EC%8A%A4%ED%85%8C%EB%84%A4%EC%8A%A4%EC%9D%98_%EC%B2%B4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수학에서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는 소수를 찾는 방법이다. 고대 그리스 수학자 에라토스테네스가 발견하였다. 알고리즘[편집] 2부터 소수를 구하고자 하는 구간의 모든 수를 나열한다. 그림에서

ko.wikipedia.org

728x90
반응형